운암동

운암동

  • 분류 전체보기 (2900)
    • 00.광주이상고향 칠원산성 (7)
    • 01. 씨앗 나눔 (47)
    • 02.숨은토착꾼들 (38)
    • 03.토착화 과정 (70)
    • 04.집에서채소가꿈 (61)
    • 05. 지난텃밭 7개소 (153)
      • 금산화단 (30)
    • 06. 병 벌레 천적 (121)
    • 07.용대리텃밭 (4)
    • 08.여시골텃밭 (26)
    • 09.대현텃밭5년한부옥용봉 (81)
    • 0b. 테라프레타 농법 (13)
    • 0c. 물빙,새싹 (38)
    • 0d. 모종키우기 (15)
    • 0e.농업공구 (32)
    • 0f. 삐가리밭 (22)
    • 10.무시 일지 (33)
    • 11.X-프적무 (12)
    • 12 . 전차무 (43)
    • 13 . 제주 단지무 (15)
    • 14. 자단무시 (1)
    • 15. 담프무시 (2)
    • 16 . 제주 갯무 (11)
    • 17. 곽장 무 (3)
    • 18. 궁중무 (1)
    • 1a . 깡무, 동진 (15)
    • 1b. 나복자무시 (1)
    • 1c. 황봄무 (3)
    • 1d . 서진,고진무 (2)
    • 1e. 조선열무 (1)
    • 1f. 전개무 (1)
    • 20. 배추일지 (10)
    • 21. 청방배추 (29)
    • 22. 제주밀동초 (12)
    • 23.내륙토착순무 (16)
    • 24.콩밭열모,실켄,경8배추 (3)
    • 25. 청라배추 (2)
    • 26.조쌈,쌈남배추(12) (3)
    • 27.정맛,소노랑배추 (5)
    • 28.진촌배추 (2)
    • 청삼초 (1)
    • 2a.쌈경,청쌈초 (3)
    • 2b.서오배추(증식) (3)
    • 2c.적양,양켄배추 (6)
    • 30.잡종, 이종교배 (2)
    • 32.도전초(증식) (21)
    • 33.홍달초 (10)
    • 34.X콜라비사알초 (8)
    • 35. 운면초 (6)
    • 36. 춘채(시나나빠) (1)
    • 39. 청,적경체 (1)
    • 3a.건대,아욱,시금치 (3)
    • 40.상추일지 (2)
    • 41.조갈상추 (2)
    • 42.적하상추 (10)
    • 46.자오크상추 (3)
    • 47. 메조상추 (3)
    • 48.유껌상추 (1)
    • 4a.재래적상추 (0)
    • 50.잡채소일지 (16)
    • 51. 진보파,정구지,양파 (15)
    • 52. 삼동고리파 topset onion (7)
    • 54.당근,고수 (8)
    • 5d. 오래가놀 (2)
    • 61.마늘 (2)
    • 62. 쑥갓 (2)
    • 71 . 청치커리 (9)
    • 72. 청너커리 (11)
    • 73. 흥부커리 (11)
    • 75.적너커리 (2)
    • 76.트레비소 (4)
    • 77.적경각커리 (3)
    • 78.땅짐(바위옷) (3)
    • 80.과채류일지 (19)
    • 81.옥봉도마도(교잡) (59)
    • 82. 피망 파프리카 (5)
    • 83.산크리트참외 (14)
    • 84.물이(오이) (9)
    • 85.고치 (29)
    • 88. 가지 (4)
    • 89. 흑단지호박 (4)
    • 8a. 옥수수 (8)
    • 8b.수수등잡곡 (2)
    • 8c.줄쌀산두 교잡실험 (20)
    • 8d.콩 (15)
    • 8e. 메밀 (0)
    • 8f. 밀 종류 (2)
    • 90. 나물채소(복원중) (28)
    • 91. 나물초롱 (5)
    • 92. 제비꽃 (3)
    • 93. 다닥냉이 (1)
    • 94. 솜양지꽃 (3)
    • 95. 잔대 (6)
    • 96.미물대(등대풀) (5)
    • 97.기름나물 (1)
    • 98.불믱(세미역쇄체) (8)
    • 99.산파늘 (2)
    • 9a.홍화 와 엉겅키 (4)
    • 9b. 외래나물류 아스파라가스 (10)
    • 9d.참나물 (1)
    • 9e. 산들나물 떡쑥땅짐 (5)
    • 9f. 약초류 독할응거꾸토행기 (14)
      • 털새동부(토행기) (8)
    • 100. 나무 (29)
    • 101. 자귤 (19)
    • 102. 산포도(머루) (3)
    • 103. 정금 베리류 (0)
    • 104.깨목나무 (0)
    • 105. 석류 (0)
    • 106. 개비자 (3)
    • 107.아보카도 (3)
    • 108.모링가 (2)
    • 109. 중복숭 (3)
    • 10a. 치자 (1)
    • 10b. 고추나무 (3)
    • 10c. 대추나무 (1)
    • 10d. 애추나무 (3)
    • 10e. 레몬 (5)
    • 110. 퇴출된 항목 모둠 (52)
    • 121. 상품성상실씨앗 (0)
    • 122. 씨엄는 열매 (1)
    • 122. 열매를 맺지않는 1회용 씨앗 (0)
    • 123. 껍떼기 뿡인 씨앗 (2)
    • 123. 흔적만 남은 씨앗 (0)
    • 124. ll세는 잡초화씨앗 (2)
    • 125. 유전자 조작된 씨앗 (0)
    • 130. 건강과 식품 (246)
    • 131. 외삼촌75년씨앗쟁잉 (0)
    • 190. 애완동식물 (65)
    • 200. 돌팔이의 민간요법 (44)
    • 201.기침천식 곰식초로 기적처럼 (10)
    • 202 칡갱이 서민명약 (3)
    • 250. 이야기 (159)
    • 260. 장똘뱅이 (2)
    • 261. 칠곡장 (10)
    • 262. 동명장 (6)
    • 263. 불로장 (8)
    • 264. 신동장 (1)
    • 265. 경산장 (5)
    • 266. 자인장 (11)
    • 267. 영천장 (10)
    • 268. 포항장 (1)
    • 269. 청도장 (1)
    • 26a. 현풍장 (5)
    • 26b. 구지장 (2)
    • 26c. 이방장 (0)
    • 26d. 십이합장 (2)
    • 26e. 창녕장 (2)
    • 26f. 남지장 (1)
    • 26g. 칠원장 (0)
    • 26h. 군위장 (3)
    • 26 j. 소보장 (3)
    • 26k. 의성장 (7)
    • 26m.상주장 (0)
    • 26n.예천 (0)
    • 26p. 김천장 (2)
    • 26q. 선산장 (1)
    • 26r. 고령장 (1)
    • 26s. 성주장 (2)
    • 26t. 왜관장 (0)
    • 26u.문양장 (4)
    • 26v.인동장 (1)
    • 26w. 구미장 (1)
    • 280. 질깡아 댕기믱 (16)
    • 285. 자양구 타고 댕기믱 (105)
    • 290어화 벗님네들 (42)
    • 300.체험기 (28)
    • 310. 호작질 (98)
    • 320. 불발탄, 실페작 (121)
    • 321. 재활가능한것들 (26)
    • 330. 빈말아~냐 ! (98)
    • 340. 실험의 첫발 (8)
    • 350. 전자 실험자료 (19)
    • 360. 기구 공작 (22)
    • 370. 과학 흥미자료 (9)
    • 380. 옛 전통자료 (4)
    • 390. 소원 성취 (36)
    • 400. Go (2)
    • 410. 내 창고 (0)
    • 500.오복은 옛 식생활 (9)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운암동

컨텐츠 검색

태그

웡동알배추강제로까재키기 가짜 씨앗 왕고들빼기는혈액순환제 짐케리가바이든탈스고엄무중 호박탕에설탕치즈투입 짭은호박탕을호박죽으로갱신 황보순무 알배추월동후기지개켠거 불임씨앗 채소 묵꼬 불임되가는 인간 쥐엄나무 순경배추 모기채 개조로 채소 벌갱잉 잡기 동과 깡무 재파종 깡무 홍달초 호박탕짭아밀까리풀어여얄듯 학생실습체험장 대왕국수 정구지짐치에소간투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진정한 토종콩은 제비콩 불콩 앵두콩(1)

  • 제비콩 꼬투리 멸치졸임 밑반찬 고래로 부터 귀한손님 밥상에

    콩 카마 제비콩 불콩 앵두콩 이 정말로 존 토종 콩 잉기라이. 올해는 금산화단 X-콜라비 야풀때기에 숭가서 명맥은 유지해본다. 제비콩 첫 꽃이 인자부터 피기 시작 한다. 제비콩은 봄파종은 8월 중순부터 꽃 피어 한창 꽃피고 꼬투리 달릴때쯤 써리맞아 별재미 몬뽀지만 늦가을에 파종해두면 겨우내드록 땅속에서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이른봄부터 싹이오르면서 곧장 꽃피는 성질이 있어 초여름 부터 멸치역코찌저물수인는 꼬투리가 잔뜩 달려 여름내내 부잣집 푸짐한 밥반찬 되능긴데 우예이 언제부텅 개량채소 망잉 나오디미 부텅은 제비콩은 사라저 가는 가을단장 풍물로 변해젔뽔따. 떠물망이찌는 것으로도 유명 하지만 자리공 뽑아다 삶은물 열흘간격으로 서너번 주면 진디는 발을 몬부친당. 노인네들 텃밭 가까 반찬해물라꼬 땅파고 비료주고..

    2016.08.21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